IT & 웹개발 89

클라우드 및 DevOps

1. 클라우드와 DevOps의 개요오늘날 IT 인프라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클라우드(Cloud)**와 **DevOps(Development & Operations)**는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클라우드는 물리적인 서버를 운영하는 대신 인터넷을 통해 컴퓨팅 리소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며, DevOps는 개발(Development)과 운영(Operations)을 긴밀하게 통합하여 소프트웨어 개발 주기를 자동화하고 최적화하는 개념입니다.전통적인 온프레미스 환경에서는 서버 구축과 유지보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습니다. 하지만 클라우드 기술이 등장하면서 AWS, Google Cloud, Azure 등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를 통해 인프라를 쉽게 구축하고 확장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여기에 ..

IT & 웹개발 2025.03.28

웹사이트 로그 분석 – 보안 이상 징후 탐지 방법

1. 웹사이트 로그 분석의 중요성웹사이트의 로그(Log) 분석은 보안 침해를 조기에 감지하고, 이상 징후를 탐지하여 빠르게 대응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 방화벽 등의 로그를 수집하고 분석하면, 악의적인 접근 시도나 비정상적인 트래픽 패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최근 사이버 공격이 정교해지면서, 단순한 보안 솔루션만으로는 모든 위협을 탐지하기 어렵습니다. 로그 분석을 통해 이상 징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대응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웹사이트 보안을 강화하는 핵심 요소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웹사이트 로그 분석의 개념과 주요 기법, 그리고 보안 위협을 탐지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2. 웹사이트 로그의 종류(1) 웹 서버 로그웹 서버(Nginx, Apache 등)..

IT & 웹개발 2025.03.27

웹 애플리케이션 방화벽(WAF)이 필요한 이유

1. WAF(Web Application Firewall)의 개요웹 애플리케이션 방화벽(WAF, Web Application Firewall)은 웹 애플리케이션을 보호하기 위한 보안 솔루션으로, 웹 서버와 사용자 간의 HTTP/HTTPS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악의적인 요청을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기존의 네트워크 방화벽과 IDS(침입 탐지 시스템)는 IP 기반의 보안만 제공하는 반면, WAF는 웹 애플리케이션 계층(7계층)에서 작동하며 SQL Injection, XSS(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 CSRF(사이트 간 요청 위조) 등의 웹 공격을 차단하는 데 특화되어 있습니다.최근 웹 애플리케이션 기반 서비스가 증가하면서, 기업과 개인 개발자는 웹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WAF 도입을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합니..

IT & 웹개발 2025.03.27

웹사이트에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필수 보안 조치

1. 개인정보 보호의 중요성개인정보 보호는 현대 웹 환경에서 가장 중요한 보안 요소 중 하나입니다. 웹사이트에서 사용자의 개인정보(이름, 이메일, 전화번호, 결제 정보 등)를 안전하게 보호하지 않으면 데이터 유출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기업 신뢰도 저하, 법적 책임, 금전적 손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특히 GDPR(유럽 일반 개인정보 보호법), CCPA(캘리포니아 소비자 개인정보 보호법), **PIPL(중국 개인정보 보호법)**과 같은 글로벌 규제가 강화되면서 웹사이트 운영자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철저한 보안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이번 글에서는 웹사이트에서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필수 보안 조치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2. HTTPS와 SSL/TLS 암호화 적용웹사이트에서 개인..

IT & 웹개발 2025.03.27

CAPTCHA, reCAPTCHA – 봇을 차단하는 보안 기술

1. CAPTCHA와 reCAPTCHA란?CAPTCHA(Completely Automated Public Turing test to tell Computers and Humans Apart)는 사람이 컴퓨터인지 봇인지 판별하기 위해 개발된 보안 기술입니다. 이는 웹사이트에서 자동화된 스팸 및 봇 공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CAPTCHA는 사용자가 특정한 테스트를 통과해야만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악성 봇이 자동으로 로그인하거나 폼을 제출하는 것을 차단합니다.CAPTCHA의 대표적인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텍스트 CAPTCHA: 왜곡된 문자나 숫자를 입력하도록 요구이미지 CAPTCHA: 여러 개의 이미지 중 특정한 항목(예: 신호등, 자동차 등)을 선택하도록 요구퍼즐 CAPTCHA: 조각난 ..

IT & 웹개발 2025.03.27

Brute Force 공격 방어 – 계정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

1. Brute Force 공격이란?Brute Force(무차별 대입) 공격은 시스템 또는 계정의 로그인 정보를 알아내기 위해 가능한 모든 비밀번호 조합을 자동으로 시도하는 공격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특별한 취약점을 악용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무차별적으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이므로, 보안이 취약한 시스템에서는 쉽게 계정이 탈취될 수 있습니다.공격자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을 활용합니다.단순 무차별 대입(Brute Force): 가능한 모든 문자 조합을 사용하여 비밀번호를 대입사전 공격(Dictionary Attack):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비밀번호 목록을 활용크리덴셜 스터핑(Credential Stuffing): 다른 서비스에서 유출된 계정 정보를 활용하여 로그인 시도리버스 Brute ..

IT & 웹개발 2025.03.27

CSRF(Cross-Site Request Forgery) 공격과 방어 방법

1. CSRF란 무엇인가?CSRF(Cross-Site Request Forgery, 교차 사이트 요청 위조)는 웹 보안 취약점 중 하나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요청을 특정 웹사이트에 전송하도록 유도하는 공격 기법입니다. 공격자는 피해자가 인증된 상태에서 특정 요청을 수행하도록 만들어 권한이 없는 작업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사용자가 은행 웹사이트에 로그인한 상태에서 공격자가 조작된 링크를 클릭하면 피해자의 계정에서 공격자가 지정한 계좌로 돈이 이체될 수도 있습니다. CSRF 공격은 주로 사용자가 신뢰하는 웹사이트의 취약점을 이용하여 발생하며, 피해자는 공격을 인지하지 못한 채 악성 요청을 수행하게 됩니다.2. CSRF 공격의 동작 방식CSRF 공격이 발생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사용자 ..

IT & 웹개발 2025.03.27

브라우저 보안 –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 이해하기

1. CORS란 무엇인가?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 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는 웹 보안 정책 중 하나로, 웹 브라우저가 서로 다른 출처(origin) 간의 요청을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기본적으로 웹 브라우저는 보안상의 이유로 동일 출처 정책(Same-Origin Policy, SOP)을 적용하여 다른 도메인에서의 요청을 차단합니다. 즉, 스크립트가 실행된 도메인과 다른 도메인의 리소스에 접근하는 것을 제한하는 정책입니다.하지만 현대 웹 개발에서는 API 서버와 프론트엔드 서버가 분리되는 경우가 많아, 서로 다른 출처에서 데이터를 요청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CORS는 이러한 교차 출처 요청을 허용하는 방법을 정의하여 보안과 기능성을 모두 충족할 수 있도록 합..

IT & 웹개발 2025.03.22

보안 및 웹사이트 보호

1. 개요웹사이트는 다양한 보안 위협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를 방치할 경우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해킹, 데이터 유출, 악성 코드 감염, 서비스 마비 등의 사고는 기업과 개인 모두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개인정보 보호가 강조되는 시대에 보안이 취약한 웹사이트는 사용자 신뢰를 잃을 위험이 크다.보안이 중요한 이유는 단순한 기술적인 문제가 아니라,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 사용자 데이터 보호, 서비스의 지속적인 운영과도 직결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유출될 경우 법적 책임이 따를 수 있으며, 금전적 손실뿐만 아니라 기업의 명성이 심각하게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악성 코드나 랜섬웨어에 감염되면 웹사이트가 정상적으로 운영되지 못할 수 있으며, 복구하는 데 많은 ..

IT & 웹개발 2025.03.22

PostgreSQL vs. MySQL – 데이터베이스 선택 가이드

1. 개요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은 애플리케이션의 성능과 확장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오픈 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 중 대표적인 두 가지가 PostgreSQL과 MySQL이다.PostgreSQL: 강력한 확장성과 표준 준수를 강조하는 오브젝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MySQL: 빠른 읽기 성능과 단순한 구조로 널리 사용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이 글에서는 PostgreSQL과 MySQL의 특징, 성능 차이, 주요 기능, 사용 사례를 비교하여 어떤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해야 할지 가이드한다.2. PostgreSQL과 MySQL 개요✅ PostgreSQL이란?PostgreSQL은 **객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Object-Relational Database, ORDBMS)..

IT & 웹개발 2025.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