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 웹개발

Terraform과 Ansible – 인프라 자동화 도구 비교

kkwako 2025. 3. 29. 13:00

1. 인프라 자동화란?

현대 IT 환경에서 인프라를 코드(Infrastructure as Code, IaC)로 관리하는 방식은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습니다. 기존에는 서버를 직접 설정하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작업이 많았지만, 이제는 TerraformAnsible 같은 자동화 도구를 활용하여 효율적이고 일관된 인프라 운영이 가능합니다.

Terraform과 Ansible은 모두 인프라 자동화 도구지만, 사용 목적과 방식이 다릅니다. Terraform은 주로 클라우드 리소스 프로비저닝에 특화되어 있고, Ansible은 서버 구성 및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위한 도구로 많이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도구의 차이점과 활용법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2. Terraform – 인프라 프로비저닝을 위한 도구

(1) Terraform이란?

Terraform은 HashiCorp에서 개발한 오픈소스 IaC(인프라 코드화) 도구로, 코드로 클라우드 인프라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AWS, Google Cloud, Azure 등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와 연동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가상 머신(VM)까지 포함한 전체 인프라를 코드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2) 주요 개념 및 기능

  • 선언형(Declarative) 접근 방식: 원하는 최종 상태를 정의하면 Terraform이 자동으로 적용
  • 멀티 클라우드 지원: AWS, GCP, Azure, DigitalOcean 등 다양한 클라우드 지원
  • 상태 파일(State Management): 현재 인프라 상태를 저장하여 변경 사항을 추적
  • 모듈화(Modularity): 코드 재사용을 위한 모듈 기능 제공

(3) Terraform 코드 예제

아래는 AWS에서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Terraform 코드입니다.

hcl
복사편집
provider "aws" { region = "us-east-1" } resource "aws_instance" "example" { ami = "ami-12345678" instance_type = "t2.micro" }

Terraform의 terraform apply 명령어를 실행하면 정의된 리소스가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Terraform과 Ansible – 인프라 자동화 도구 비교

 

3. Ansible – 서버 구성 및 애플리케이션 배포 자동화

(1) Ansible이란?

Ansible은 Red Hat에서 개발한 오픈소스 구성 관리(Configuration Management) 및 자동화 도구입니다. SSH를 이용하여 원격 서버의 설정을 관리하고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할 수 있습니다.

(2) 주요 개념 및 기능

  • 에이전트(Agent) 필요 없음: 별도의 소프트웨어 설치 없이 SSH 기반으로 동작
  • 명령형(Imperative) 및 선언형(Declarative) 방식 모두 지원
  • YAML 기반 Playbook 사용: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으로 설정 가능
  • 롤(Role) 기반 구성: 모듈화된 관리 가능

(3) Ansible 코드 예제

아래는 Ansible을 사용하여 Nginx를 설치하는 Playbook 예제입니다.

yaml
복사편집
- name: Install Nginx hosts: web_servers become: yes tasks: - name: Install Nginx on Ubuntu apt: name: nginx state: present

이 Playbook을 실행하면 대상 서버에 Nginx가 자동으로 설치됩니다.

4. Terraform vs. Ansible – 주요 차이점 비교

비교 항목TerraformAnsible
주요 목적 인프라 프로비저닝 서버 구성 및 애플리케이션 배포
언어 HashiCorp Configuration Language (HCL) YAML (Playbook)
작업 방식 선언형 (Declarative) 명령형 + 선언형 (Imperative + Declarative)
에이전트 필요 여부 필요 없음 필요 없음 (SSH 기반)
상태 관리 상태 파일(State File) 필요 상태 저장 없음
멀티 클라우드 지원 AWS, GCP, Azure 등 지원 클라우드보다는 서버 관리에 초점

Terraform은 인프라 자체를 관리하는 데 강점을 가지고 있고, Ansible은 서버 설정과 애플리케이션 배포에 강점이 있습니다.

5. 결론 – 언제 Terraform과 Ansible을 사용할까?

Terraform과 Ansible은 서로 보완적인 도구이며, 함께 사용하면 더욱 강력한 인프라 자동화가 가능합니다.

  • Terraform을 사용할 때
    • AWS, GCP, Azure 등 클라우드 리소스를 생성해야 할 때
    • VPC,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등을 코드로 관리해야 할 때
    • 선언적인 방식으로 인프라를 프로비저닝하고 싶을 때
  • Ansible을 사용할 때
    • 서버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환경을 구성해야 할 때
    •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설정을 자동화해야 할 때
    • 운영 중인 서버의 설정을 변경해야 할 때

Terraform + Ansible 함께 활용하기

Terraform을 사용하여 EC2 인스턴스를 생성한 후, Ansible을 사용하여 서버 환경을 설정하는 방식이 많이 활용됩니다.

Terraform 코드로 EC2 인스턴스를 프로비저닝한 후, Ansible을 사용하여 웹 서버를 설치하는 조합이 일반적입니다.

이처럼 Terraform과 Ansible을 함께 사용하면 인프라와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완벽하게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