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84

Brute Force 공격 방어 – 계정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

1. Brute Force 공격이란?Brute Force(무차별 대입) 공격은 시스템 또는 계정의 로그인 정보를 알아내기 위해 가능한 모든 비밀번호 조합을 자동으로 시도하는 공격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특별한 취약점을 악용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무차별적으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이므로, 보안이 취약한 시스템에서는 쉽게 계정이 탈취될 수 있습니다.공격자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을 활용합니다.단순 무차별 대입(Brute Force): 가능한 모든 문자 조합을 사용하여 비밀번호를 대입사전 공격(Dictionary Attack):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비밀번호 목록을 활용크리덴셜 스터핑(Credential Stuffing): 다른 서비스에서 유출된 계정 정보를 활용하여 로그인 시도리버스 Brute ..

IT & 웹개발 2025.03.27

CSRF(Cross-Site Request Forgery) 공격과 방어 방법

1. CSRF란 무엇인가?CSRF(Cross-Site Request Forgery, 교차 사이트 요청 위조)는 웹 보안 취약점 중 하나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요청을 특정 웹사이트에 전송하도록 유도하는 공격 기법입니다. 공격자는 피해자가 인증된 상태에서 특정 요청을 수행하도록 만들어 권한이 없는 작업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사용자가 은행 웹사이트에 로그인한 상태에서 공격자가 조작된 링크를 클릭하면 피해자의 계정에서 공격자가 지정한 계좌로 돈이 이체될 수도 있습니다. CSRF 공격은 주로 사용자가 신뢰하는 웹사이트의 취약점을 이용하여 발생하며, 피해자는 공격을 인지하지 못한 채 악성 요청을 수행하게 됩니다.2. CSRF 공격의 동작 방식CSRF 공격이 발생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사용자 ..

IT & 웹개발 2025.03.27

브라우저 보안 –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 이해하기

1. CORS란 무엇인가?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 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는 웹 보안 정책 중 하나로, 웹 브라우저가 서로 다른 출처(origin) 간의 요청을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기본적으로 웹 브라우저는 보안상의 이유로 동일 출처 정책(Same-Origin Policy, SOP)을 적용하여 다른 도메인에서의 요청을 차단합니다. 즉, 스크립트가 실행된 도메인과 다른 도메인의 리소스에 접근하는 것을 제한하는 정책입니다.하지만 현대 웹 개발에서는 API 서버와 프론트엔드 서버가 분리되는 경우가 많아, 서로 다른 출처에서 데이터를 요청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CORS는 이러한 교차 출처 요청을 허용하는 방법을 정의하여 보안과 기능성을 모두 충족할 수 있도록 합..

IT & 웹개발 2025.03.22

보안 및 웹사이트 보호

1. 개요웹사이트는 다양한 보안 위협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를 방치할 경우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해킹, 데이터 유출, 악성 코드 감염, 서비스 마비 등의 사고는 기업과 개인 모두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개인정보 보호가 강조되는 시대에 보안이 취약한 웹사이트는 사용자 신뢰를 잃을 위험이 크다.보안이 중요한 이유는 단순한 기술적인 문제가 아니라,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 사용자 데이터 보호, 서비스의 지속적인 운영과도 직결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유출될 경우 법적 책임이 따를 수 있으며, 금전적 손실뿐만 아니라 기업의 명성이 심각하게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악성 코드나 랜섬웨어에 감염되면 웹사이트가 정상적으로 운영되지 못할 수 있으며, 복구하는 데 많은 ..

IT & 웹개발 2025.03.22

PostgreSQL vs. MySQL – 데이터베이스 선택 가이드

1. 개요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은 애플리케이션의 성능과 확장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오픈 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 중 대표적인 두 가지가 PostgreSQL과 MySQL이다.PostgreSQL: 강력한 확장성과 표준 준수를 강조하는 오브젝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MySQL: 빠른 읽기 성능과 단순한 구조로 널리 사용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이 글에서는 PostgreSQL과 MySQL의 특징, 성능 차이, 주요 기능, 사용 사례를 비교하여 어떤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해야 할지 가이드한다.2. PostgreSQL과 MySQL 개요✅ PostgreSQL이란?PostgreSQL은 **객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Object-Relational Database, ORDBMS)..

IT & 웹개발 2025.03.21

OAuth 2.0과 JWT(Json Web Token) – 인증 방식 비교

1. 개요웹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보안은 필수 요소이며, 특히 사용자 인증(Authentication) 방식은 중요한 고려 사항이다.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인증 기술 중 두 가지가 OAuth 2.0과 **JWT(Json Web Token)**이다.✅ OAuth 2.0은 외부 서비스에서 사용자 인증을 위임하는 프로토콜이며,✅ JWT는 자체적으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토큰 기반 인증 방식이다.이 글에서는 OAuth 2.0과 JWT의 개념, 차이점, 그리고 각각의 장단점과 사용 사례를 비교하여 설명한다.  2. OAuth 2.0과 JWT 개요✅ OAuth 2.0이란?OAuth 2.0은 제3자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대신 특정 서비스의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인증 프로토콜이다..

IT & 웹개발 2025.03.21

웹 소켓(WebSocket)과 SSE(Server-Sent Events) – 실시간 데이터 처리

1. 개요실시간 데이터 처리는 현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 채팅 애플리케이션, 주식 시장 데이터 스트리밍, 실시간 알림 시스템 등에서 빠른 데이터 전송이 필수적이다. 이를 구현하는 대표적인 기술이 **웹 소켓(WebSocket)**과 **SSE(Server-Sent Events)**이다.이 글에서는 웹 소켓과 SSE의 개념, 차이점,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어떤 기술을 선택해야 하는지를 설명한다.2. 웹 소켓(WebSocket)과 SSE 개요 ✅ 웹 소켓(WebSocket) 개념웹 소켓은 풀-이중(Full-Duplex) 통신을 제공하는 프로토콜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양방향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HTTP 요청과 다르게 연결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필요할 ..

IT & 웹개발 2025.03.21

Express.js와 Fastify 비교 – Node.js 백엔드 프레임워크 선택 가이드

1. 개요Node.js 기반의 백엔드 개발을 할 때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레임워크로 Express.js와 Fastify가 있다. Express.js는 오랜 시간 동안 표준처럼 자리 잡아 왔고, Fastify는 성능과 확장성을 중점적으로 설계된 비교적 새로운 프레임워크다.이번 글에서는 Express.js와 Fastify의 차이점을 비교하고, 어떤 프로젝트에 적합한지 분석해보겠다.2. Express.js와 Fastify 개요✅ Express.js란?Express.js는 2010년에 출시된 Node.js의 가장 인기 있는 웹 프레임워크로, 간결한 API와 유연한 구조를 제공한다.✅ Express.js의 주요 특징간단하고 직관적인 API방대한 미들웨어 생태계 (express middleware, third-pa..

IT & 웹개발 2025.03.21

Redis와 Memcached – 캐싱 시스템의 차이점과 최적 활용법

1. 개요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성능을 최적화하는 방법 중 하나는 데이터 캐싱을 활용하는 것이다. 캐싱 시스템을 사용하면 데이터베이스의 부하를 줄이고, 응답 속도를 높이며, 서버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다.대표적인 인메모리 캐싱 시스템으로는 Redis와 Memcached가 있다. 이번 글에서는 두 시스템의 차이점을 비교하고, 각각의 최적 활용법을 소개하겠다.  2. Redis와 Memcached의 개요✅ Redis란?Redis(Remote Dictionary Server) 는 오픈소스 기반의 키-값 저장소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빠르게 읽고 쓸 수 있는 NoSQL 데이터베이스다.✅ Redis의 주요 특징다양한 데이터 구조 지원 (String, List, Set, Hash, Sorted Set 등)데이터..

IT & 웹개발 2025.03.21

Docker와 Kubernetes – 컨테이너 기반 개발 환경 구축하기

1. 개요최근 IT 업계에서는 애플리케이션 배포의 효율성과 확장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컨테이너 기술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대표적인 컨테이너 기술인 Docker와 이를 효과적으로 오케스트레이션하는 Kubernetes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이번 글에서는 Docker와 Kubernetes의 개념과 역할, 그리고 이를 활용한 개발 환경 구축 방법을 소개하겠다.2. Docker – 컨테이너 기술의 핵심✅ 1) Docker란?Docker는 애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Container) 라는 단위로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컨테이너는 운영체제(OS) 환경과 독립적으로 동작하며, 빠른 배포 및 실행이 가능하다.✅ Docker의 주요 특징경량성 → 가상 머신(VM)보다 ..

IT & 웹개발 2025.03.19